카테고리 없음
EPC 관점에서 본 재생에너지 발전소 구축 과정과 주요 기업
기후지기
2025. 7. 26. 00:45
목차
- 1. EPC의 정의와 역할
- 2. 발전소 구축 주요 단계
- 3. 글로벌 EPC 선도 기업
- 4. 국내 EPC 주요 기업 및 사례
- 5. 투자 기회 및 추천 종목
- 6. 삼성물산 재무제표 분석
- 7. 결론 및 투자 전략
1. EPC의 정의와 역할
EPC는 Engineering(설계), Procurement(조달), Construction(시공)의 약자로, 발전소 건설 전 과정의 책임을 맡는 일괄 수주 방식을 의미합니다.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EPC업체는 ▶부지 타당성 조사 ▶기술·구조 설계 ▶장비·자재 구매 ▶현장 시공 ▶시운전 ▶인수인계까지 토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.
2. 발전소 구축 주요 단계
- 사전 타당성 조사
기상·지형·전력망 연계성·환경영향 등을 분석해 최적 부지를 선정하고, 경제성(수익성) 모델을 검토합니다. - 기본·상세 설계
입지와 용량에 맞춘 터빈·모듈 배치, 구조물·전기계통·접속 설계, 시공 계획을 확정합니다. - 조달(Procurement)
터빈·모듈·타워·케이블·변압기 등 핵심 장비 및 자재를 발주·수입·검수하며, 금융·물류·납기 관리를 병행합니다. - 시공·Erection
기초 파일·구조물 공사, 터빈·모듈 설치, 전기·통신·안전 공사를 순차적으로 수행합니다. - 시운전·인수인계
성능 테스트, 그리드 연계 시험, 운영 매뉴얼 인수 인계 등을 통해 발전소를 상업 운전 단계로 이행시킵니다.
3. 글로벌 EPC 선도 기업
기업 | 주요 특징 | 비고 |
---|---|---|
NextEra Energy (NEE) | 미국 최대 재생에너지 개발·운영·EPC 태양광·풍력 25GW 이상 건설 경험 |
EPC 외 O&M·자산운용까지 통합 서비스 |
Ørsted (ORSTED.CO) | 해상풍력 EPC 리더 유럽·아시아 12GW 프로젝트 수행 |
풍력 전용 시공선·자회사 통한 턴키 계약 |
Fluor (FLR) | 글로벌 EPC·플랜트 엔지니어링 대표 태양광·풍력·수소 프로젝트 다수 |
석유화학·에너지·인프라 전 분야 수행 |
4. 국내 EPC 주요 기업 및 사례
기업 | 주요 프로젝트 | 특징 |
---|---|---|
삼성물산 (028260) | 제주 300MW 해상풍력 EPC 국내 최대 태양광 전력망 구축 |
글로벌 네트워크 활용, 대형 EPC 강점 |
현대건설 (000720) | 충남 200MW 태양광 발전소 EPC 서남해 5.5GW 해상풍력 인프라 |
토목·전기·해양 공사 일괄 수행 |
GS건설 (006360) | 강원 태백 180MW 태양광 EPC 분산형 태양광 실증사업 |
소형·분산 발전소 EPC 경험 풍부 |
5. 투자 기회 및 추천 종목
종목 | 코드 | 핵심 포인트 |
---|---|---|
삼성물산 | 028260 | 글로벌 EPC 수행 역량·국내 대형 프로젝트 파이프라인 보유 |
현대건설 | 000720 | 인프라·에너지 턴키 수행 경험, 해상풍력 인프라 사업 확대 |
NextEra Energy | NEE | 미국 재생에너지 EPC·운영 통합 리더 |
Fluor | FLR | 다양한 에너지 플랜트 EPC 경험 |
6. 삼성물산 재무제표 분석
구분 | 2023년 실적 | 전년 대비 |
---|---|---|
매출액 | 55조 3,200억 원 | +4.8% |
영업이익 | 3조 1,850억 원 | +7.2% |
영업이익률 | 5.8% | – |
부채비율 | 115% | – |
ROE | 10.3% | – |
7. 결론 및 투자 전략
- EPC 역량은 재생에너지 확산의 키포인트: 글로벌·국내 EPC 강자 주목
- 삼성물산·현대건설로 국내 대형 프로젝트 수혜 기대
- NextEra Energy, Fluor로 해외 분산 투자 효과 극대화
- 정기 리밸런싱, 정책·구조설계 리스크 점검 필수
반응형